✏️

largestRectangularArea

Question

히스토그램(histogram)은 표(도수 분포표, 빈도표)로 되어 있는 도수 분포(frequency distribution)를 정보 그림으로 나타낸 것입니다. 예를 들어, 대학교의 한 학과에서 신입생들의 현재 거주 지역을 조사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봅시다.
서울 2명, 경기 1명, 대전 4명, 부산 5명, 대구 1명, 광주 3명, 제주도 3명...
이 자료를 히스트그램으로 나타내면 각각 높이 2, 1, 4, 5, 1, 3, 3인 직사각형이 왼쪽부터 그려지게 됩니다. 편의상 직사각형의 너비는 1이라고 가정합니다.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.
6 | 5 | x 4 | x x 3 | x x x x 2 | x x x x x 1 | x x x x x x x ------------------
Plain Text
복사
이 히스토그램 내에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직사각형의 면적은 8입니다 (O로 표시한 부분).
6 | 5 | x 4 | O O 3 | O O x x 2 | x O O x x 1 | x x O O x x x ------------------
Plain Text
복사
이처럼 임의의 히스토그램 내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의 면적을 리턴해야 합니다.

입력

인자 1 : histogram

number 타입을 요소로 갖는 배열
histogram[i]는 100,000 이하의 양의 정수
histogram.length는 100,000 이하

출력

number 타입을 리턴해야 합니다.

Test Case 1

let histogram = [2, 1, 4, 5, 1, 3, 3]; let output = largestRectangularArea(histogram); console.log(output); // --> 8
Shell
복사

Test Case 2

let histogram = [6, 2, 5, 4, 5, 1, 6]; let output = largestRectangularArea(histogram); console.log(output); // --> 12 /* 6 | x x 5 | x x x x 4 | x O O O x 3 | x O O O x 2 | x x O O O x 1 | x x O O O x x ------------------ */
Shell
복사

Solve

문제를 어렵게 만드는 것은 높이를 포기하고 너비를 선택할지, 너비를 포기하고 높이를 선택할지 따져봐야 한다는 것입니다.
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유심히 관찰하는 것은 문제 해결의 첫 걸음입니다.
길이 nhistogram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이 histogram[i]부터 막대 histogram[j]까지라고 가정해봅시다. ij0 ~ n-1 사이에 놓여 있습니다. (0 <= i <= j <= n-1)
이 사각형의 높이는 이 구간의 막대 중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진 막대(histogram[k])의 높이와 같습니다.
이 사각형은 전체 구간(0 ~ n-1) 중 가장 낮은 막대를 포함하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뉩니다.
전자는 i === 0이고 j === n-1인 경우 뿐입니다.
후자는 이 직사각형이 차지하는 구간 바깥에 존재합니다. (k < i이거나 j < k)
이 이후부터는 스스로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.
구간 트리(segment tree)를 약간 변형하여 해결합니다.
const largestRectangularArea = function (histogram) { const createMinIdxTree = (arr, ts, te) => { // 가장 작은 값의 '인덱스'를 구하기 위한 구간 트리 if (ts === te) return { idx: ts, val: arr[ts] }; const mid = parseInt((ts + te) / 2); const left = createMinIdxTree(arr, ts, mid); const right = createMinIdxTree(arr, mid + 1, te); return { val: Math.min(left.val, right.val), idx: left.val < right.val ? left.idx : right.idx, left, right, }; }; const tree = createMinIdxTree(histogram, 0, histogram.length - 1); const getMinIdx = (ts, te, rs, re, tree) => { if (rs <= ts && te <= re) return tree.idx; if (te < rs || re < ts) return rs; const mid = parseInt((ts + te) / 2); const left = getMinIdx(ts, mid, rs, re, tree.left); const right = getMinIdx(mid + 1, te, rs, re, tree.right); return histogram[left] < histogram[right] ? left : right; }; const getRangeArea = (start, end) => { if (start > end) return 0; // 현재 구간에서 가장 작은 막대를 찾는다. // 가장 작은 막대이므로 구간의 길이 * 높이만큼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. (첫번째 후보) const minIdx = getMinIdx(0, histogram.length - 1, start, end, tree); // 가장 작은 막대를 기준으로 왼쪽, 오른쪽 부분에 존재하는 모든 막대의 높이가 더 크다. // 재귀적으로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, // 즉 해당 구간에서 가장 작은 막대를 제외해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한다. return Math.max( (end - start + 1) * histogram[minIdx], // 첫번째 후보 getRangeArea(start, minIdx - 1), getRangeArea(minIdx + 1, end) ); }; return getRangeArea(0, histogram.length - 1); };
JavaScript
복사
실행시간 : ms